심폐소생술은 심장의 펌프 기능이나 폐의 호흡기능이 멈추었을 때 사용하는 응급처치입니다. 심폐소생술의 목적은 우리 몸에 가장 기본이 되는 장기인 심장, 뇌, 그리고 그 외의 장기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입니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심폐소생술의 시작 시간이며, 이는 생존 여부를 결정하는 중대한 열쇠가 됩니다. 심장마비가 일어난 후에도 우리 몸 속의 폐와 혈관 내에는 6분 정도까지는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산소의 여분이 있습니다. 반대로 숨이 멈추어도 수 분 동안은 심장이 뛰게 되어 폐 속의 산소는 계속 이용되게 됩니다. 그러나 이 시간이 지나면 더 이상의 산소 공급이 불가능해지므로 심폐소생술이 필요합니다. 심장과 폐의 정지 후 즉시 4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이 시행되면 완전소생의 기회가 높습니다. 그렇지만 4~6분 이상 산소공급이 차단되면 뇌에 손상이 올 가능성이 크고, 6분 이상 산소공급이 차단되면 뇌의 기능이 완전히 정지되고 생명을 잃게 됩니다. 따라서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경우로 판단되면 즉시 올바른 심폐소생술을 실시하여 환자를 소생시키거나, 혹은 전문의료진이 도착할 때까지 생명을 연장해야 합니다.

생존 사슬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필요한 일련의 단계들을 생존사슬이라 합니다. 심정지가 발생하면 환자를 정상으로 회복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따라서 심정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환자들을 선별하여 심정지 발생을 예방하는 노력이 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합니다. 심정지가 발생된 경우에는 목격자가 심정지 상태를 신속하게 인지하고 즉시 구급대에 신고해야 합니다. 신고를 한 이후에는 목격자가 현장에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고, 필요한 경우 제세동을 해야 합니다. 신고 받은 구급대원은 신속히 환자 발생 현장에 도착하여 전문소생술을 시행해야 합니다. 심정지 환자의 자발 순환이 회복된 후에는 심정지 원인을 교정하고 통합적인 심정지 후 치료를 시행함으로써 심정지 환자가 신경학적으로 완전히 회복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5가지의 필수적인 단계들이 사슬과 같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만 합니다.

심폐소생술 방법

1. 의식확인 및 도움을 요청합니다.

환자에게 다가가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괜찮으세요?”라고 물어본다. 만약 환자가 반응이 없고, 호흡이 없거나 심정지 호흡처럼 비정상적인 호흡을 보인다면 심정지 상태로 판단합니다. 주변 사람에게 119 신고를 부탁하고 제세동기를 요청합니다.

2. 환자를 바르게 눕힙니다.

심폐소생술을 하기 위해서는 환자를 딱딱하고 평평한 표면(바닥)위에 바로 수평 되게 눕힙니다. 눕힐 때는 머리부터 발끝까지 함께 돌려 몸이 틀어지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몸이 틀어질 경우 목이나 척추손상이 있는 환자에게는 치명적인 손상을 더할 수 있습니다. 효과 있게 몸을 돌려서 눕히려면 환자의 몸너비 만큼 환자의 어깨위치에서 떨어져 무릎을 꿇고 앉아서 돌리면 목을 충분히 지지하며 돌려 눕힐 수 있습니다. 이때 구조자에게 가깝게 위치한 환자의 팔은 머리 위로 위치하게 하고 돌려 눕혀야 합니다. 주의할 점은 돌리면서 머리, 목, 몸체가 일직선을 유지해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일단 바로 눕히게 되면, 위로 올렸던 환자의 팔을 바르게 하여 다음 단계인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게 됩니다.

3. 즉시 가슴압박을 실시합니다.

가슴압박의 위치는 흉골의 아래쪽 절반에 해당됩니다. 구조자는 환자의 가슴 옆에 무릎을 꿇은 자세를 취하고, 한 쪽 손바닥을 압박 위치에 대고 그 위에 다른 손바닥을 평행하게 겹쳐 두 손으로 압박합니다. 이때 손가락은 펴거나 깍지를 끼며, 가슴에 닿지 않도록 하며, 팔꿈치를 펴고 팔이 바닥에 수직을 이룬 상태에서 체중을 이용하여 압박합니다. 가슴 압박 시에는 강하게 규칙적으로, 그리고 빠르게 압박해야 하며, 압박의 속도는 적어도 분당 100~120회를 유지하고, 압박 깊이는 5cm 깊이를 권고합니다. 가슴압박의 중단을 10초 이내로 최소화할 것을 제안합니다.

[출처 - (좌)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0/03/CPR_Adult_Chest_Compression_Heart.png / (우)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5/59/Sternum_above.png/600px-Sternum_above.png?20121102094934]

4. 2회의 인공호흡을 실시합니다.

한 손을 환자의 이마에 대고 손바닥으로 압력을 가하여 환자의 머리가 뒤로 기울어지게 하면서, 다른 손의 손가락으로 아래턱의 뼈 부분을 머리 쪽으로 당겨 턱을 받쳐주어 머리를 뒤로 기울여 (머리 젖히고-턱들기 방법) 기도를 유지합니다. 환자의 코를 막은 다음 구조자의 입을 환자의 입에 밀착시켜 환자의 가슴이 올라오도록 호흡을 불어넣습니다. 인공호흡은 “보통 호흡(구조자가 숨을 깊이 들이쉬는 것이 아니라 평상 시 호흡과 같은 양을 들이쉬는 것)”을 1초 동안 환자에게 불어넣는 것입니다. 첫 번째 인공호흡을 시도했을 때 환자의 가슴이 상승되지 않는다면 머리 젖히고-턱들기를 정확히 다시 한 다음에 두번째 인공호흡을 시행합니다. 혹시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적이 없거나, 받았더라도 자신이 없는 경우, 혹은 인공호흡에 대해 거부감을 가진 경우에는 인공호흡을 하지 않고 가슴압박만 하더라도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가슴압박 소생술을 하도록 권장합니다.

[출처 - (좌) https://www.google.com/url?sa=i&url=https%3A%2F%2Fcommons.wikimedia.org%2Fwiki%2FFile%3ACPR_Adult_Airway.png&psig=AOvVaw1nSr3UyMw477WDbMAPSmSS&ust=1696578129106000&source=images&cd=vfe&opi=89978449&ved=0CA8QjRxqFwoTCKi95J203oEDFQAAAAAdAAAAABAP / (우) https://www.google.com/url?sa=i&url=https%3A%2F%2Fnara.getarchive.net%2Fmedia%2Fnational-guard-tech-sgt-chris-smith-practices-the-b09fed&psig=AOvVaw1nSr3UyMw477WDbMAPSmSS&ust=1696578129106000&source=images&cd=vfe&opi=89978449&ved=0CA8QjRxqFwoTCKi95J203oEDFQAAAAAdAAAAABAH]

5. 30번의 가슴압박과 2회의 인공호흡을 지속적으로 시행합니다.

구조자는 다음 중 한 가지의 경우에 해당될 때까지 심폐소생술을 계속해야 합니다.

  • ① 응급의료종사자에게 치료 인계
  • ② 환자가 움직이거나 호흡이 회복되는 등 자발순환이 확실한 경우
  • ③ 구조자가 지치거나, 위험한 환경에 빠진 경우

6. 환자를 평가합니다.

인공호흡과 흉부압박을 2:30의 비율로 5주기 반복합니다 (약 2분 소요). 5주기 시행 후 환자가 숨을 쉬는지, 움직임, 기침 등의 생명의 징후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생명의 징후가 있으면 한쪽 팔을 바닥에 대고 다른 쪽 팔과 다리를 구부린 채로 환자를 옆으로 돌려 눕히는 회복자세를 취하고, 생명의 징후가 없다면 심폐소생술을 지속합니다. 이상적인 회복자세는 환자를 옆으로 눕혀 머리의 위치는 낮게 하고 호흡을 방해할 수 있는 압력이 가슴에 가해지지 않는 자세입니다.
자발 순환이 돌아오면 다음과 같은 증상 및 징후가 나타납니다.

  • - 동공수축
  • - 피부색이 좋아짐
  • - 심장박동이 자연적으로 돌아옴
  • - 자연적으로 숨을 들이쉼
  • - 팔과 다리를 움직임
  • - 삼키려고 시도함
  • - 의식이 돌아옴

비효과적인 심폐소생술 (CPR)

비효과적인 CPR이란 부적절한 소생술을 하는 것입니다. CPR노력이 효과적이지 못할 경우는 대개 다음과 같은 원인들 때문입니다.

  • - 환자 머리가 환기를 할 수 있게 정확히 머리가 젖혀지지 않았다.
  • - 환자의 입이 공기가 통과될 만큼 충분히 개방되어 있지 않다.
  • - 환자의 입이나 코가 완전히 봉해지지 않았다.
  • - 구강 대 구강법 동안에 환자의 코를 잘 막지 않아 공기가 새었다.
  • - 환자를 단단한 바닥에 눕히지 않았다.
  • - 구조자의 손위치가 틀렸다.
  • - 흉부가 충분히 압박되지 않았다.
  • - 흉부가 충분히 이완되지 않았다.
  • - 압박속도가 너무 빠르거나 너무 느리다.

Q & A

1. 의료인이 아닌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여도 법적인 문제는 없나요?
심폐소생술은 크게 기본 심폐소생술과 전문 심폐소생술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기본 심폐소생술은 구조자의 신체와 자동제세동기를 이용하여 시행하는 것으로서 심정지의 경우 임상적 사망에서 생물학적 사망으로의 이행을 지연시킬 수 있습니다. 일반 시민이 선한 의도를 가지고 구조행위를 시행한 경우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 따라 면책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5조의2(선의의 응급의료에 대한 면책) 생명이 위급한 응급환자에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응급의료 또는 응급처치를 제공하여 발생한 재산상 손해와 사상(死傷)에 대하여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이 없는 경우 해당 행위자는 민사 책임과 상해에 대한 형사 책임을 지지 아니하고 사망에 대한 형사 책임은 감면한다.

  • [ 개정 2011.3.8, 2011.8.4 ]
  • 1.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아닌 자가 실시한 응급처치
  • - 가. 응급의료종사자
  • - 나. 「선원법」제86조에 따른 선박의 응급처치담당자, 「119구조ㆍ구급에 관한 법률」제10조에 따른 구급대 등 다른 법령에 따라 응급처치 제공의무를 가진 자
  • 2. 응급의료종사자가 업무수행 중이 아닌 때 본인이 받은 면허 또는 자격의 범위 에서 한 응급의료
  • 3. 제1호 나목에 따른 응급처치 제공의무를 가진 자가 업무수행 중이 아닌 때에 한 응급처치 [전문개정 2011.8.4]
2. 구강 내 구강 인공호흡을 하는 경우에 구조자가 내쉬는 숨에는 이산화탄소가 많을 것인데, 환자에게 해가 되지는 않나요?
들어 마시는 공기 중에는 산소가 21%이지만, 내쉬는 공기(즉, 환자에게 불어넣는 공기)에도 산소가 17~18% 존재하므로 인공호흡으로도 필요한 산소를 공급할 수 있습니다.
3. 심폐소생술은 언제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요?
심폐소생술을 시작한 후에는 의사가 환자의 사망을 선언하기 전까지 심폐소생술을 계속하여야 합니다. 심폐소생술을 언제 종료할 것인가에 대한 명확한 지침은 현재까지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환자의 맥박과 호흡이 회복된 경우, 시술자가 지쳐 더 이상 할 수 없거나,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고 20-30분이 경과하였어도 호흡과 맥박이 회복되지 않는 경우 심폐소생술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저체온증, 약물 중독, 침수 등의 경우에는 심폐소생술을 장시간 지속할 수 있습니다.